2025 출산 전후 휴가 신청 방법, 내가 받을 수 있는 급여 한도는?

2025년 출산전후휴가 신청방법 알아보기

법정 휴가, 보장 받는 휴가 일수

  • 출산 전후 합산 최대 90일(다태아 120일)
    • 이때 출산 후 45일은 필히 확보해야합니다.
      만약, 예정보다 출산이 늦어질 경우 45일이 보장되도록 회사는 무급 휴가를 지급해야 합니다.
  • 배우자 출산 법정 휴가 : 최대 20일

출산휴가 급여

  • 급여 지급 주체 : 고용보험(근로복지공단)에서 직접 지급*회사 부담 아님
  • 급여 지급 조건 : 휴가 종료일 기준 고용보험 기간 합산 180일 이상
  • 급여 한도(정부 지원 상한액) : 근로자의 통상임금 기준으로 월 최대 210만원
    *통상임금이란, 기본급과 매월 고정적, 일률적,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각종 수당을 포함합니다
    *통상임금과 정부 지원 상한액(월 210만원)과의 차액분은 사업주가 지급

출산휴가 신청 방법

  1. 회사에 출산 휴가 신청서 작성
    회사마다 신청 방식이 달라요. 보통 아래 내용을 작성해서 제출합니다.
    다만, 회사의 승인이 없어도 출산 휴가는 사용 가능합니다.- 필요 항목 : 휴가 사용 기간, 출산 예정일
    *휴가사용기간 참고: 출산 전 44일 + 출산일 1일 + 출산 후 45일
    – 선택 항목 : 대체 인력 구인 및 인수인계 현황 보고
  2. <고용 24>를 통해 급여 지급 신청
    – 신청자 : 본인(회사x)
    – 온라인 신청 후 사내 인사팀에게 확인 요청
    (회사에서 온라인 서류 제출 필요)

출산휴가 신청 시기

  • 출산전후휴가 시작 후 30일이 지나면 1차 신청 가능, 이후 30일 단위로 추가 신청 가능
    *휴가가 끝난 후 신청하는 경우에는 일괄 신청 가능(12개월 이내)
  • 급여는 심사 후 약 2~4주 이내로 근로복지공단에서 직접 지급

출산휴가 대체인력 지원금

  • 출산전후휴가로 인한 업무 공백 문제 해결을 위해 대체인력 지원금 월 120만원 회사 지원

자주 묻는 질문

  • 출산 휴가 기간은 근속 연수 포함 여부
    • 포함됩니다. 휴직 처럼 제외되지 않아요.
  • 대기업의 경우 위와 동일한가요?
    • 조금씩 다릅니다. 아래 정부 누리집 상세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참고 자료

  • 고용노동부 누리집 출산전후휴가 안내문(링크)
  • 고용노동부 누리집 대체인력지원금 안내문(링크)
  • 고용노동부 2025 육아지원제도 카드뉴스(링크)

댓글 남기기